도메인과 일치하도록 소프트웨어를 모델링하는데 중점을 둔 소프트웨어 설계 접근 방식
설계(Design) 뿐만 아니라 "개발(Development), 배포(Deployment), 운영(Direction)"을 고려해야 함.
DDD를 한다는 것은 "도메인 중심으로 사고"한다는 것 -> 문제 해결을 위해 "모든 수단과 방법을 제대로" 고려하는 것
관련 포스팅
https://engineering-skcc.github.io/microservice%20modeling/ddd-Srategic-design/
https://engineering-skcc.github.io/microservice%20modeling/Event-Storming/ <- 이벤트 스토밍 관련 포스팅
https://github.com/tlandeka/authentication-microservice-with-domain-driven-design
'개발 >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GI, Common Gateway Interface (0) | 2022.12.22 |
---|---|
팀 프로젝트 시작 전 준비 사항 - Conventions (0) | 2022.12.21 |
[DDD] Repository Pattern 이란 (0) | 2022.12.16 |
CQRS 패턴 (0) | 2022.12.16 |
쿠버네티스와 컨테이너, 도커에 대한 기본 개념 (0) | 2022.12.16 |